장기적으로 일정률 이상의 안정적 수익실현을 요구 하는 계약자 자산으로서 금융시장상황에 따라 채권 및 유동성 자산에 투자하여 안정적인 이자수익 획득을 목적으로 하는 펀드
채권자산 90%, 유동성자산 10%
운용계획
  • 국공채 및 신용등급(A-이상)이 우량한 채권에 투자하여 신용 위험을 최소화
  • 장기채권과 단기채권 투자
    • 추세 판단 Signal에 따라 장기채권 강세 시 장기 채권(3~5년)에 투자, 장기채권 약세 시 단기채권(1년 이하)에 투자
    • 금리 급등국면에서는 채권투자부문을 모두 유동성 자산으로 전환 가능
    • 채권의 만기를 탄력적으로 조절하여, 금리의 등락에 대응
원리금 보장여부

미보장

실적배당형 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되지 않습니다.
채권 및 채권 관련 파생상품 등 원금과 이자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는 자산에 80%내외로 투자하고 주식 및 주식 관련 파생상품에 10%이내에 투자함을 원칙으로 하며, 나머지는 유동성 자산에 투자하는 펀드
채권자산 80%, 주식자산 10%, 유동성자산 10%
운용계획
주식자산

우량주 중심과 종목 분산을 통해 대규모 손실위험을 회피하며, 금융환경 및 거시 경제지표의 변화에 따라 주식투자 비중을 달리 구성하여 운용

채권자산

주로 국채, 통안채 등 안전자산 위주로 투자하며, 신용리스크 관리규정상 투자적격 채권에 한정하여 운용

  • 장단기 금리 스프레드 활용 준차익거래 및 수익률곡선 변동에 따른 만기구간별 보유수익률 분석 등 상대가치분석 투자를 통한 초과수익 추구
  • 제한적 만기조절전략(Duration mismatch)을 구사하여 벤치마크 대비 초과수익 추구
원리금 보장여부

미보장

실적배당형 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되지 않습니다.
채권 및 채권 관련 파생상품 등 원금과 이자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는 자산에 65%내외로 투자하고 주식 및 주식 관련 파생상품에 30%이내에 투자함을 원칙으로 하며, 나머지는 유동성 자산에 투자하며 KOSPI에 추종하는 펀드
채권자산 65%, 주식자산 5%, 유동성자산 30%
운용계획

index + a 전략으로 인덱스 대비 안정적 초과수익 달성

  • 현/선물간의 상대적 저평가를 이용한 Index Swiching, 배당투자전략 등을 이용
  • Index Arbitrage, 옵션 변동성 매매, 스프레드 매매 등
  • 인덱스 전략 :
    기본적으로 인덱스를 추종하면서 파생상품 시장의 일시적 가격 비효율성을 이용하거나 주식 비중을 제한적으로 조정하여 +a 를 추구하는 전략
  • 주가지표 변동과 동일한 투자성과 실현 목표
채권자산

주로 국채, 통안채 등 안전자산 위주로 투자하며, 신용리스크 관리규정상 투자적격 채권에 한정하여 운용

원리금 보장여부

미보장

실적배당형 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되지 않습니다.
채권 및 채권 관련 파생상품 등 원금과 이자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는 자산에 55%내외로 투자하고 주식 및 주식 관련 파생상품에 40%이내에 투자함을 원칙으로 하며, 나머지는 유동성 자산에 투자하는 펀드
채권자산 55%, 주식자산 40%, 유동성자산 5%
운용계획
주식자산

우량주 중심과 종목 분산을 통해 대규모 손실위험을 회피하며, 금융환경 및 거시경제 지표의 변화에 따라 주식투자 비중을 달리 구성하여 운용

  • 기업 이익 및 시장 구조의 개선에 따른 한국주식시장 의 재평가 과정에서 이익 성장과 질적 이익이 우수한 종목 및 업종에 투자하여 시장 수익률 대비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고 높은 수익을 지속적으로 추구
  • 수익가치 및 장부가치에 근간하여 상대적 저평가된 업종 및 종목, 그리고 개별 종목 선정을 통한 시장대비 안정적인 이익 수익률 추구
채권자산

주로 국채, 통안채 등 안전자산 위주로 투자하며, 신용리스크 관리규정상 투자적격 채권에 한정하여 운용

원리금 보장여부

미보장

실적배당형 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되지 않습니다.
주식(안정적 수익창출이 가능한 고배당종목, 우량 우선주) 및 주식관련 파생상품에 자산의 90%이내 투자하고 나머지는 유동성 자산 및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
채권자산 55%, 주식자산 40%, 유동성자산 5%
운용계획
주식운용
  • 국내주식 중 성장가치주 및 업종대표주에 집중 투자
  • 한국을 대표하는 중대형 우량주 위주로 구성
  • 업종별, 종목별로 자연스러운 분산 투자 효과 기대
운용방식

주가지수선물이 현물에 비해 저평가될 경우 펀드의 10%이내에서 주가지수 선물에 투자

원리금 보장여부

미보장

실적배당형 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되지 않습니다.
주식 및 주식형 수익증권(ETF 포함) 등에 자산의 70% 이내로 투자하고, 채권 및 채권관련 파생상품 등에 자산의 30% 이내로 투자하며, 나머지는 유동성 확보를 위한 유동자산 및 수익증권 등에 투자하는 펀드
채권 및 채권형 수익증권 채권관련 파생상품 유동성 자산 등 30%, 주식 및 주식형 수익증권 70%
운용계획

전 세계 다양한 자산군을 투자대상으로 하는 국내 및 미국 상장 ETF에 투자

  • 전략적 베타 전략으로 장기적인 자산배분을 하고, 시장 상황 및 전망에 따라 단기 비중 조절 및 개별 종목을 선별하여 안정적인 알파(α)수익을 추구
  • 정성 리서치로 커버가 불가능한 글로벌 시장의 기회 포착을 위해 데이터에 기반하여 자산군을 체계화하여 계량분석(Quant Strategy)
  • 일간 단위 시장 모니터링으로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시장 변동에 대응하고자함
포트폴리오

자산군별 포트폴리오(국내외 상장 주식형, 국내외 상장채권형 등)를 투자 목적에 맞추어 적정 비중으로 혼합하여 구성

  • 주식 vs 채권 상대적 매력도, 원/달러 환율 추이 및 자산별 변동성에 따라 비중 결정
원리금 보장여부

미보장

실적배당형 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되지 않습니다.